-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가 불거지면서 활동 위축
- 내부 의견 불일치와 이사들의 별세·사임 등 이유

일조국교촉진국민협회 사무국장인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연합뉴스
일조국교촉진국민협회 사무국장인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연합뉴스

일본과 북한의 국교 정상화를 촉진하기 위해 2000년 출범했던 ‘일조국교촉진국민협회’가 올해 안에 해산한다. 북일 관계가 납치 문제를 둘러싼 교착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사실상 역할을 다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도쿄신문은 17일, 협회 사무국장인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가 “올해 안에 협회가 해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고 보도했다.

협회는 지난 2000년 일본 사회당 출신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를 초대 회장으로, 아카시 야스시 전 유엔 사무차장을 부회장으로 두는 등 각계 원로 인사들이 주축이 돼 출범했다.

2002년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총리가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하고 ‘북일 평양선언’을 채택하자, 협회는 심포지엄을 열고 일본 정부에 다양한 제언을 하며 활발히 활동했다.

그러나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가 불거지면서 양국 간 국교 정상화 협상이 사실상 중단되자 협회의 활동도 크게 위축됐다.

와다 교수는 “납치 피해자 전원 송환을 요구하며 대북 압박을 강화한 1차 아베 신조 정권 시절부터 협회에 대한 비판이 거세졌다”며 “내부 의견 불일치와 함께 이사들의 별세·사임이 이어지면서 사실상 활동 기반이 사라졌다”고 회고했다.

그는 또 “아베 전 총리가 2018년 북·미 정상회담 이후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조건 없이 만나겠다고 태도를 바꿨지만 성과는 없었다”며 “아베 노선과 결별하지 않으면 북일 관계는 앞으로도 아무 진전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황시완 기자 hsw@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