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스라엘, 美에 초대형 벙커버스터 'GBU-57' 지원 요청
- 트럼프, "모두들 즉시 테헤란을 떠나라"…SNS에 소개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수도 테헤란에 있는 사람들에게 즉각 현지를 떠날 것을 촉구했다. 이스라엘의 공습을 받고 있는 테헤란./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수도 테헤란에 있는 사람들에게 즉각 현지를 떠날 것을 촉구했다. 이스라엘의 공습을 받고 있는 테헤란./연합

이란의 핵능력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군사적 능력은 미국만이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선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강도 높은 공습이 이어지고 있는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 있는 사람들에게 즉각 현지를 떠날 것을 촉구했다.

뉴욕타임스(NYT)는 16일(현지시간) 양국의 충돌을 해결하려는 외교적 노력이 무산되거나 이란이 우라늄 농축 전면 중단을 거부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에 벙커버스터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동 상황을 이유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는 캐나다에서 조기 귀국을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 복귀하는 대로 상황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할 것으로 전해졌다. NSC에서 논의될 안건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스라엘에 대한 군사지원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이스라엘은 미국에 초대형 벙커버스터인 GBU-57의 지원을 요청했다는 후문이다. 이란의 산악 지역 포르도의 지하 깊숙이 건설된 핵시설을 지상작전 없이 파괴하려면 미국의 초대형 벙커버스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벙커버스터는 무게가 13.6톤에 달하기 때문에 미군이 운용하는 B-2 스텔스 폭격기 외에는 투하가 불가능하다. 미군은 지난 2년간 백악관의 감독 아래 포르도에 GBU-57을 투하하는 작전을 연습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뮬레이션 결과 한 발의 벙커버스터로는 충분하지 않고, 여러 대의 B-2 스텔스 폭격기가 투입돼 연속으로 벙커버스터를 투하해야 한다는 계획이 수립됐다. 다만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같은 작전 계획을 승인한다면 미국이 중동에서 벌어지는 전쟁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미국 바깥에서 벌어지는 전쟁에 미국 병사를 보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반복해서 밝혔다.

이란은 미군이 이스라엘의 공격을 지원할 경우 미국에 직접 보복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아지즈 나시르자데 이란 국방장관은 이스라엘의 공습 직전인 지난 11일 "미국의 모든 역내 기지가 우리의 사정거리 내에 있다"며 분쟁 발생 시 미국의 역내 기지를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벙커버스터를 지원하지 않을 경우엔 이란의 핵무기 개발 능력 제거라는 이스라엘의 핵심 목표 달성은 불가능하다. 포르도 핵시설의 전력을 차단할 경우 원심분리기들이 제어불능 상태로 회전하다가 손상되거나 파괴될 수 있지만 확실치는 않다는 것이다.

브렛 맥거크 전 백악관 NSC 중동·아프리카 조정관은 포르도의 핵시설에 대해 "항상 가장 핵심적인 문제였다. 이번 충돌이 끝난 뒤에도 포르도에서 농축 작업이 계속된다면 전략적인 성과를 거뒀다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이란은 내가 서명하라고 했던 합의에 서명했어야 했다. 얼마나 부끄러운 일이며, 인명의 소모인가"라며 "이란은 하나의 핵무기도 가질 수 없다고 누차 말했다"고 썼다. 그러면서 "모두 즉시 테헤란을 떠나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대피 촉구 메시지의 수신 대상을 구체적으로 밝히진 않았다. 현지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미국인들에게 사실상의 '소개령'에 준하는 대피 권고를 하는 동시에 현지의 이란 국민들에게도 생명을 보전할 것을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정구영 기자 cgy@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