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동쪽 끝섬 주변 EEZ서 中 항공모함 항해 첫 확인
- 지난달 22~27일에는 서해에서 해상 훈련 실시한 듯

 

일본 동쪽 끝 태평양 섬인 미나미토리시마 주변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중국 항공모함 항해가 처음 확인됐다. 랴오닝함 전단./신화
일본 동쪽 끝 태평양 섬인 미나미토리시마 주변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중국 항공모함 항해가 처음 확인됐다. 랴오닝함 전단./신화

중국의 항공모함이 연일 한국과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인근에서 항해하며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9일 NHK에 따르면 일본 해상자위대는 지난 7일 자국 동쪽 끝 태평양 섬인 미나미토리시마 남서쪽 300㎞ EEZ 주변에서 중국 항공모함 랴오닝함과 3대의 구축함 등 중국 함선 4척이 항해하는 것을 확인했다. 8일 랴오닝함에서는 전투기와 헬기 등의 이·착륙도 이뤄졌다.

NHK는 "이번에 랴오닝함 등이 활동한 해역은 중국의 대미 방위라인 중 하나로 알려진 '제2도련선' 주변에 해당한다"며 "방위성은 중국이 항공모함 운용과 먼 거리 작전 수행 능력 향상을 도모한 것으로 보고 경계와 감시를 펼쳤다"고 전했다.

도련선(열도선)은 중국의 해상 안보 라인으로 제2도련선은 일본 이즈반도-괌-사이판-인도네시아를 잇는 선을 지칭한다. 중국 쪽에 더 가까운 제1도련선은 일본 오키나와-대만-필리핀-믈라카해협을 잇는 선이며, 제일 바깥에 놓인 제3도련선은 알류샨 열도와 하와이, 뉴질랜드를 연결한 선이다.

앞서 중국 항공모함은 지난달 하순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서 시험 항해를 하기도 했다. 중국은 5월 22~27일 PMZ 내 일부 해역을 선박 출입을 금지하는 항행금지구역으로 설정하고, 같은 기간 해당 구역에서 푸젠함을 동원한 해상 훈련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PMZ는 한중이 서해상 해양경계획정 협상을 진행하던 중 어업분쟁 조정을 위해 2000년 한중어업협정을 체결하면서 양국의 200해리 EEZ가 겹치는 곳에 설정한 수역이다.

푸젠함은 랴오닝함과 산둥함에 이은 세 번째 중국 항공모함으로 2022년에 진수됐다. 중국 항공모함 최초로 전자기식 함재기 사출기(캐터펄트)를 장착한 푸젠함은 배수량 8만톤급으로 J-15 전투기와 J-35 전투기 등 70여대의 함재기를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장효정 기자 emily@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