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유학생 파견·공동실험·기술이전 통해 ‘中과 한 전호’ 강조
북러 밀착 견제 의도도 ...中, 러시아보다 北 의 실정 더 잘 알아

북한과 중국이 반도체와 2차전지 등 미래 전략산업 분야에서 실질적인 기술협력을 추진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5월 평양 주재 중국대사관을 창구로 베이징과 평양 간 고위급 실무교류를 수차례 진행, 조만간 청년 기술자 파견과 공동개발을 포함한 '전략적 기술 협력'에 돌입할 예정이다. 

12일 평양시 고위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정부는 5월부터 중국 측과의 경제·기술 협조를 대폭 확대하기 위한 복수의 실무 계획서를 마련하고 중국대사관을 경유해 북경의 특정 공업대학 및 기술기관들과 ‘내밀한 교류’를 진행 중이다. 특히 이번 교류는 ‘의례적 외교’를 지양하고 “배터리 및 반도체 특화 청년 교류” 등 구체적 산업 프로젝트로 전환된 것이 특징이다.

소식통은 “조선(북한) 측은 현대적 문명도시 건설과 과학기술력 향상을 명분으로 유능한 청년 과학자와 대학생들을 중국에 유학 보낼 계획이며 이를 통해 ‘국가 과학기술 인재풀’을 전략적으로 양성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중국 측도 이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돈 걱정은 말라'며 사실상 무상 지원을 약속했으며 반도체·2차 전지 관련 실험 장비 일부를 평양에 임시로 제공하는 데 합의한 상태라고 소식통은 전했다. 실험 장비 제공과 함께 북한 기술자들과 중국 측 연구진의 공동 기획 회의도 진행되며 오는 6월 중순부터 본격적인 공동 실험에 돌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당국은 이번 협력 사업을 '제2의 조중(북중) 우의의 황금다리'로 규정하고 단순한 지원과 수혜의 단계를 넘어 상호 전략 산업 분야에서 ‘밀어주고 끌어주는 협조’ 체계로 전환하는 계기로 삼고 있다. 북측 대표단은 ‘기술합작 사절단’ 명목으로 5월 중순 베이징을 방문할 예정이며 이들은 분야별 전문 인력으로 구성된 ‘단기 합작 소조(그룹)’ 체제로 운영된다.

합작 분야는 △배터리 소재 △반도체 세공 △자동제어 시스템 등 3개 기술군으로 세분화 되었으며 중국 기업과 대학이 실습, 연구, 장비 제공을 병행하게 된다. 일부에서는 향후 북한 내 국영공장 생산라인 설계나 기술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양측은 기술 교류뿐 아니라 문화 교류의 형식을 일부 가미해 ‘조중 청년친선 창조기술 한마당’(가칭) 개최도 검토 중이다. 명칭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북한은 이번 협력을 “청년 세대를 통한 전략적 연대”로 규정하며 정치적 메시지 강화에도 주력하는 모습이다.

이번 합작 추진의 배경에는 미국과의 전략적 긴장 고조가 자리하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과 중국은 “미국이 중국을 괴롭히는 상황에서 조중이 더욱 굳게 단결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하며 “반도체와 배터리 기술 협력은 단순한 산업 협력이 아닌, 미중 충돌 속 동방의 불패 국가로서 위상을 보이는 상징적 행동”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러 간 밀착을 견제하고 대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중국의 전략적 의도도 포함된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소식통은 "중국은 러시아보다 북한의 실정을 더 잘 알고 있고 지역 인프라와 자원 개발을 함께 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 자신들이 더 유리한 위치에 있다는 점도 적극적으로 어필했다"며 "과거 김정일 위원장 시절보다 훨씬 좋은 조건으로 더 깊고 실속 있게 조선을 도와주겠다는 언급도 나왔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협력 사업은 양국 모두 공식 발표 없이 실무 선에서 조용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미국 및 서방의 제재망을 피하려는 전략적 의도로 해석된다.

북한 내부에서는 이번 기술 교류를 5월 들어 추진된 대외 경제 사업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로 평가하며 당 차원에서도 “보기 드문 합작기술 사업을 따냈다”고 치하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중 간 반도체·배터리 합작은 향후 대북제재 회피와 고도기술 내재화를 위한 돌파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청년층을 통한 기술 기반 재편은 김정은 체제가 의도하는 ‘과학기술 대국’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이주연 기자 lgy25@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