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200, “H20보다 강력… B200보단 한 세대 뒤”
- ‘0’이 된 중국 매출… 엔비디아의 반전 기회 될까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H200’의 중국 수출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지능(AI) 기술의 핵심인 GPU 수출 규제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기술 패권 경쟁의 흐름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 정부가 H200의 중국 판매 허용 여부를 두고 내부 논의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백악관과 미 상무부, 엔비디아 모두 논평 요청에 답하지 않아 구체적인 검토 수준은 확인되지 않았다.
H200은 2023년 출시된 GPU로, 엔비디아의 ‘호퍼(Hopper)’ 아키텍처 기반 제품 중 가장 높은 성능을 내는 칩이다. 최신 아키텍처인 ‘블랙웰(Blackwell)’을 적용한 B200보다는 뒤처지지만, 현재 미국이 중국 수출을 승인한 H20보다 성능이 높다.
수출이 허용될 경우 중국의 AI 기술 개발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 정부의 통제 방안에 따라 이번 검토가 제한적 허용에 그칠지, 혹은 규제 완화의 신호탄이 될지가 향후 관전 포인트다.
엔비디아는 올해 중국 시장에서 극심한 부침을 겪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미·중 갈등 국면에서 H20 칩의 수출을 금지했고, 3개월 뒤 통제가 풀렸지만 중국은 안보 문제를 이유로 구매를 사실상 중단했다. 현재 엔비디아의 중국 매출은 ‘0’에 가깝다.
미국은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인 2022년 최첨단 AI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규제를 도입했고, 이후 GPU 성능 기준을 세부 조정하며 통제를 지속해 왔다. 이번 검토는 해당 기조에 변화가 생긴 것인지 여부를 가늠할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뉴욕 증시에서 180달러 부근을 유지하다가, 블룸버그 보도 직후인 오후 1시50분께 2% 이상 급등했다. 한때 184.56달러까지 올랐으며, 투자자들이 중국 시장 재진입 가능성을 조기에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정부가 AI 기술의 군사적 활용 가능성을 우려하며 GPU 수출을 묶어온 만큼, H200 수출 논의가 실제 허용으로 이어질 경우 미·중 기술 경쟁 구도에 새로운 변곡점이 형성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황시완 기자 hsw@sandr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