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 여러 경로로 시도 중”
- 일본 외교적 돌파구 모색하려는 움직임 해석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연합뉴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연합뉴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일본 정부가 북일 관계 복원을 향한 구체적 움직임을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20여 년간 교착 상태에 놓인 납북자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될지 주목된다.

다카이치 총리는 이날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정상회담을 하기 위한 경로와 방법을 찾는 중”이라며 “모든 수단을 다해 하루라도 빨리 일본인 납북자의 귀국을 실현하려는 강한 의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예전보다 상황이 훨씬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여러 경로를 통해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며 “상세한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일본 내에서는 북한이 최근 중국·러시아와의 밀착을 강화한 가운데 일본이 외교적 돌파구를 모색하려는 움직임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다카이치 총리는 북일 정상회담이 국교 정상화를 의미하느냐는 질문에는 “이시바 시게루 전 총리가 밝힌 방침에 변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시바 전 총리는 “2002년 북일 평양선언을 원점으로 삼아 납치, 핵, 미사일 등 모든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강조해왔다.

북일 평양선언은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명한 공동문서로, 납북 피해자 송환과 핵·미사일 문제 해결, 국교 정상화 협상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 북일 관계는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다카이치 총리는 앞서 지난 3일 도쿄에서 열린 일본인 납북 피해자 조기 귀국 촉구 국민대집회에서도 “이미 북측에 정상회담을 희망한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 내에서는 다카이치 총리가 직접 김 위원장과의 대화를 성사시킬 경우, 납북자 문제를 둘러싼 일본 정치의 ‘최대 난제’ 해결에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김명성 kms@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