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가 상승 우려 낳고 있는 관세에 '민심' 우호적이지 않아
- 美 소비자, 관세 여파로 연말 선물 구입비용 19만원 늘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미국 소비자들의 연말 선물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미국 소비자들의 연말 선물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국정 운영을 평가하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관세정책에 대한 지지도가 국정 전반 및 다른 개별 정책들에 대한 지지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물가 상승에 미치는 악영향을 우려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워싱턴포스트(WP)와 ABC뉴스가 지난달 24∼28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에 의뢰해 미국의 성인 남녀 2725명을 상대로 실시한 뒤 2일(현지시간) 보도한 조사에 따르면 '수입 상품에 대한 관세를 지지하느냐'는 문항에 지지한다는 응답은 33%에 그쳤고,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65%에 달했다. 오차 범위는 ±2.8%포인트다.

이 같은 관세정책 지지도는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 수행 전반에 대한 지지율 41%(오차 범위 ±1.9%포인트)에 비해 8%포인트 낮은 것이다. 

실제 경제(37% 지지), 이민(43% 지지), 이스라엘 및 가자 상황(46% 지지), 범죄 문제(44% 지지), 다른 나라와의 관계(40% 지지), 러시아-우크라이나 상황(39% 지지), 연방정부 운영(36% 지지) 등 국정의 다른 항목에 비해 관세정책에 대한 지지도는 유독 낮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1월 20일 집권 2기 출범 이후 대대적으로 도입한 관세가 미국의 세수를 늘리고, 미국으로의 거액 투자와 미국 내 제조업 기반 재건을 유도하고 있다며 '효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민심'은 물가 상승 우려를 낳고 있는 관세에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셈이다.

온라인 대출업체 렌딩트리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을 지난해 연말 이뤄진 미국 소비자들의 선물 구매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소비자와 소매업체가 부담하는 비용 부담이 총 406억 달러(약 59조원)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고 CNBC가 이날 보도했다. 

이 가운데 소비자가 약 70%에 해당하는 286억 달러(약 41조원)를 부담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현재와 같은 관세 수준이 지난해에 그대로 적용됐을 경우 미국 소비자 한 사람이 연휴 시즌 선물 지출에 132달러(약 19만원)를 더 썼을 것이란 계산이다. 소매업체는 관세에 따른 상승 비용 중 나머지 120억 달러(약 17조원)를 부담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비록 지난해 소비 데이터에 현 관세 효과를 기계적으로 적용한 분석이기는 하지만 관세가 올해 연말 소비 시즌을 앞두고 미국 소비자 또는 기업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관세가 미국의 물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이 이미 가시화됐다고 평가한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달 29일 금리 인하 결정 후 기자회견에서 "높아진 관세는 일부 상품의 가격을 밀어올리고 있으며, 그 결과 전체 물가지수를 상승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가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일회성 효과에 그칠 것으로 본다면서도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지속적으로 가속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박동혁 기자 pdh@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