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계에 대한 신호 없이 중장기 목표 2035년 달성 강조
- 1인당 GDP 선진국 수준 높이고, 사회주의 현대화 실현

 

중국공산당 제20기 4중전회가 개막된 지난 20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의 모습./연합
중국공산당 제20기 4중전회가 개막된 지난 20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의 모습./연합

중국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4중전회)가 시진핑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후계에 대한 '신호' 없이 시진핑 주석 중심 체제와 2035년까지 달성해야 할 중장기 목표들을 강조하면서 막을 내렸다. 이는 사실상 시진핑 주석의 4연임에 무게를 실은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지난 23일 끝난 이번 4중전회는 올해로 13년째 장기집권 중인 시진핑 주석의 4연임 가능성을 엿볼 가늠자로 여겨졌다. 일흔을 넘긴 시진핑 주석이 3연임으로 임기를 마무리하고 권력을 넘길 의사가 있다면 2027년 열리는 제21차 당 대회까지 남은 기간을 고려할 때 이번 4중전회가 후계자감을 지목할 사실상 마지막 기회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4중전회에서는 획기적인 인사 변동은 눈에 띄지 않는 가운데, 공보 전반에서 시진핑 사상을 관철하고 시진핑 주석을 중심으로 당과 인민이 단결해야 한다는 내용이 여러 차례 나왔다.

중앙위원회는 이번 4중전회 공보에서 15차 5개년 계획 기간(2026∼2030년)의 경제사회 발전은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쩌둥 사상, 덩샤오핑 이론, 3개 대표 중요 사상, 과학발전 관점을 견지하고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전면적으로 관철해야 한다고 밝혔다. 

4중전회는 군 100주년 목표 달성과 국방·군 현대화 고품질 추진을 제안하면서도 시진핑 강군 사상의 관철을 강조했다. 아울러 "전당, 전군, 전국 각 민족 인민이 시진핑 동지를 핵심으로 하는 당 중앙 주위에 더 긴밀히 단결해 사회주의 현대화 기본적 실현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중국의 중장기 발전 중간 목표인 2035년이 다시금 부각된 점도 눈에 띈다. 4중전회는 15차 5개년 계획의 주요 목표를 달성한 뒤 이를 바탕으로 "5년 더 노력해 2035년까지 국가 경제력, 과학기술력, 국방력, 종합 국력 및 국제 영향력을 대폭 키우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를 통해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중등 선진국 수준으로 높이고, 사회주의 현대화를 기본적으로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시진핑 주석의 지도력 아래 중장기 개혁발전 목표 완수 시점을 2035년까지로 재차 강조한 것은 2027년 열리는 다음 당 대회를 통해 4연임을 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될 수 있다.

중앙정치국원 교체와 중앙군사위원회 인사 등에서도 차기 지도부 인선의 신호로 받아들여질 만한 내용은 감지되지 않았다.

중국의 차기 최고 지도자감은 국가 부주석, 당 산하 부서와 기구를 관장하는 중앙서기처 서기, 당 고급간부 양성기관인 중앙당교 교장, 군을 총괄하는 당 중앙군사위원회의 부주석을 거치며 후계자 수업을 받는다. 시진핑 주석이나 전임자인 후진타오 전 주석도 집권 전 이들 직책을 고루 거쳤다.

하지만 이번에 당 최고위급의 인사 변동은 없었다. 24인으로 구성된 당 중앙정치국원이자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이었던 허웨이둥이 부패 혐의 등으로 해임된 사실이 지난 17일 발표됐지만 그로 인해 생긴 중앙정치국 공석은 이번 4중전회에서 채워지지 않았다.

중앙군사위원회에서는 장성민 군 기율위원회 서기가 부주석으로 승진하며 시진핑 주석과 장유샤 부주석에 이은 군 서열 3위로 올라섰지만 그는 현역 군인이다. 문민 부주석이 등장했다면 차기 후계의 신호일 수 있지만 장 성민 서기의 승진은 이와 거리가 먼 인사로 평가된다. 

일각에서는 군부 내 부패 척결을 상징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장성민 서기의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승진은 시진핑 주석의 군 장악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정구영 기자 cgy@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