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 냉전 종식 구상 담은 ‘END 이니셔티브 공식화
-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서 밝혀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총회장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첫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냉전을 끝내기 위한 구상을 담은 ‘END 이니셔티브’를 공식 제안했다.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를 단계적으로 추진해 남북 간 대결을 종식시키겠다는 청사진이다.

이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 7번째로 나서 “대한민국은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위한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그는 “교류와 협력이 평화의 지름길이라는 것은 굴곡진 남북 관계의 역사가 증명했다”며 “남북 교류를 확대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관계 정상화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비핵화와 관련해선 기존의 ‘3단계 해법’을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비핵화는 엄중한 과제지만 단기간에 풀 수 없다는 냉철한 현실 인식이 필요하다”며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의 ‘중단’에서 출발해 ‘축소’, 최종적으로 ‘폐기’로 나아가는 단계적 해법이 현실적”이라고 밝혔다.

또한 북한을 향해선 흡수통일이나 적대행위 의사가 전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상대 체제를 존중하고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 행위도 할 뜻이 없다”며 “이 원칙 위에서 군사적 긴장의 악순환을 끊어내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이 유엔 무대에서 밝힌 ‘END 이니셔티브’는 윤석열 전 대통령 시절 제시됐던 ‘담대한 구상’과 궤를 달리하면서도, 국제사회와 공조 속 단계적 접근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향후 북한과 미국, 중국 등 관련국의 반응에 따라 한반도 정세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명성 기자 kms@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