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재래식 통합 도상 한미연습 '아이언 메이스'도 진행
- 北 반발…"가장 포괄적이고 공격적인 침략전쟁 연습"

한국, 미국, 일본이 15일부터 19일까지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한미일 다영역 훈련인 '2025년 프리덤 에지' 훈련을 시행한다. 같은 기간 한미는 핵·재래식 통합 도상연습(CNI TTX)인 '아이언 메이스'도 진행하기로 했다. 이에 북한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훈련 기간 내 도발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날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한미일은 이번 프리덤 에지 훈련을 통해 해양·공중·사이버 등 다영역에서 작전 역량을 강화하고, 상호 운용성 향상을 통해 3국 간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 나갈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해상미사일 방어 훈련 △대잠전 훈련 △공중 훈련 △방공 훈련 △대해적 훈련 △사이버 방어 훈련 등이 계획돼 있다.
합참은 "이번 훈련은 국제법 및 규범을 준수한 가운데,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 위해 시행하는 연례적인 훈련"이라고 설명했다.
프리덤 에지는 한미일 3국이 지난 2023년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에서 '다영역 훈련 시행'에 합의함에 따라 2024년 6월 최초 시행됐고, 같은 해 11월엔 2차 훈련이 있었다.
이번 3차 훈련은 지난 7월의 합의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올해 1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6월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이다. 정권의 교체와 무관하게 2023년 8월 캠프 데이비드 합의에서 정해진 한미일 안보 협력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3국의 의지의 표현이다.
표면적으로 프리덤 에지는 북한 위협 대응을 최우선 목표로 하지만 훈련의 세부 내용은 대중 억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군사 전문가들은 훈련에 포함된 통합 대공·미사일 방어(IAMD)와 대잠수함전이 중국의 강력한 '반접근/지역거부(A2/AD)' 전략을 무력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입을 모은다.
A2/AD는 유사시 미군 증원 전력이 서태평양, 특히 대만 해협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고, 이미 전개된 미군 자산의 작전을 방해하기 위한 중국의 핵심 군사 전략이다. 즉, 한미일 3국은 유사시 중국의 미사일과 잠수함 공격으로부터 핵심 자산을 보호하고 작전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한 훈련을 하는 것이다.
한마디로 프리덤 에지 훈련은 한반도 방어는 물론 대만 유사시 미군의 개입 통로를 확보하고, 동아시아 전체의 세력 균형을 유지하려는 미국의 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같은 기간 경기 평택 캠프 험프리스 미군 기지에서는 미군 주도로 한미 합참과 전략사령부 등이 참여하는 아이언 메이스 연습이 진행된다. 이 연습은 한미 군 당국이 지난해 7월 합의한 '한반도 핵억제 핵작전 지침'의 일환으로 시행되며, 북핵 대응·억제를 위해 양국 군이 보유한 핵·재래식 전력을 통합 운용하는 토의식 연습이다.
한미는 지난해 7월과 올해 4월 두 차례 아이언 메이스 연습을 했으며, 이번이 세 번째다. 프리덤 에지와 마찬가지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아이언 메이스에선 미국의 핵 탑재 전략자산을 전개할 때 한국의 재래식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공동 기획 절차를 숙달한다. 또한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확장 억제 강화 방안, 미국 핵 전력과 한국 재래식 전력 통합 운용 방안 등을 토의한다.
북한은 프리덤 에지와 아이언 메이스를 앞둔 지난 14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과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명의의 담화를 발표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김여정 부부장은 "잘못 고른 곳, 즉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변에서 미일한이 행동으로 보여주고 있는 무모한 힘자랑질은 분명코 스스로에게 좋지 못한 결과를 가져다주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박정천 부위원장도 "아이언 메이스는 우리 국가에 대한 핵무기 사용을 목적으로 한 노골적인 핵전쟁 시연", "한미일 군사훈련은 가장 포괄적이고 공격적인 침략전쟁 연습"이라고 규정, 비난했다./이동훈 기자 ldh@sand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