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라늄 침전지 폐수 의도적으로 하천으로 내보내
- 예성강과 서해 수질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이 시급

황북 평산 우라늄공장 침전지가 배수로와 연결되고 개통이 돼서 침전물을 방류하는 모습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폐수는 소하천을 따라 2㎞를 흐르다 예성강과 만나고, 남쪽으로 흘러서 우리 서해로 빠져나간다. /월드뷰-3 데일리NK
황북 평산 우라늄공장 침전지가 배수로와 연결되고 개통이 돼서 침전물을 방류하는 모습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폐수는 소하천을 따라 2㎞를 흐르다 예성강과 만나고, 남쪽으로 흘러서 우리 서해로 빠져나간다. /월드뷰-3 데일리NK

북한 황해북도 평산군에 위치한 우라늄정련공장이 폐수를 하천으로 무단 방류한 정황이 고해상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침전지가 포화 상태에 이르자 북한 당국이 별도의 배수로를 통해 처리되지 않은 폐수를 하천으로 흘려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방류된 폐수는 예성강을 따라 남쪽으로 흘러 우리 강화만과 경기만을 거쳐 서해로 유입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평산 우라늄정련공장은 광산에서 채굴한 우라늄 광석을 정련·제련해 핵무기 원료인 ‘옐로케이크(우라늄정광)’를 생산하는 핵심 시설이다. 생산된 정광은 평안북도 영변 핵단지 등으로 옮겨져 고농축 처리되며 핵무기 제조에 쓰인다.

정성학 데일리NK AND센터 위성분석실장이 미국의 환경체계연구소(ESRI)가 제공하는 위성영상(WV-3)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0월 말 촬영된 60㎝급 고해상 이미지에서 평산 공장 침전지가 포화 상태에 이른 모습과 함께 침전지에서 배수로를 통해 소하천으로 폐수가 흘러나가는 장면이 확인됐다. 소하천은 2㎞ 가량 남쪽으로 흐르며 예성강과 합류하고 이후 강화만과 경기만을 거쳐 서해로 흘러들어간다.

실제로 위성사진을 보면 공장 내부에서 파이프라인으로 저수지에 보내졌던 폐기물은 침전지를 포화 상태로 만들었다. 저수지 내 바닥에는 검은 슬러지가 쌓여 수면 위로까지 올라왔고 이로 인해 침전지는 녹조현상을 동반하며 오염이 심각해진 것으로 파악된다. 북한은 이를 별도 처리하지 않고 지하 배수로를 통해 침출수를 직접 하천으로 내보낸 것이다.

이 같은 배수로 공사는 2022년 3월경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북한 전문 민간 위성 전문가 제이콥 보글은 지난해 1월 자신의 블로그(AccessDPRK)에 공사 상황을 처음 공개했고 국내 대북매체들도 이를 추적·분석해왔다.

전문가들은 “과거에는 노후 배관에서의 누수가 주요 위험이었다면 이제는 북한이 침전지 폐수를 의도적으로 하천으로 내보내는 단계로 전환된 셈”이라고 우려한다. 실제로 지난 2019년에도 평산 우라늄공장 폐수가 한강 하구와 서해에 방사성 물질을 유입시킬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통일부의 샘플 검사 결과 별다른 이상은 없는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위성사진 분석 결과는 단순한 누수를 넘어선 ‘계획적 방류’라는 점에서 상황이 심각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폐수가 흘러들어간 예성강은 남쪽으로 한강과 만나 우리 강화만과 경기만으로 유입된다. 전문가들은 “예성강과 서해 수질에 대한 정밀 모니터링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감시망에도 불구하고 핵물질 폐수를 무단으로 방류한 것은 이웃국가에 대한 배려나 책임 의식이 전혀 없다는 방증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관련 당국의 신속한 수질 조사와 국제적 대응이 요구된다./황시완 기자 hsw@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