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샹그릴라 대화서 '중국 견제' 정조준 ... 자유에 대한 도전
-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 언급 ... 동맹국 국방비 지출 늘려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연합뉴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연합뉴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중국이 아시아를 지배하고 통제하려 한다”며 인도·태평양 동맹국들의 국방력 강화와 방위비 증액을 촉구했다. 그는 또 주한미군 병력 조정 가능성을 언급하며 대북 억제를 넘어 중국 견제에 최적화된 병력 재배치 방침도 시사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31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열린 샹그릴라 대화(아시아 안보회의) 연설에서 “중국이 무력을 동원해 아시아의 패권국이 되고자 한다”며 “이들의 위협은 실재하며 임박했을 수도 있다”고 강하게 경고했다.

그는 “중국은 사이버 역량으로 외국 산업기술을 강탈하고 남중국해에서는 물대포 공격과 선박 충돌, 군사화를 통해 주변국 주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자유에 대한 도전이며 국제사회에 보내는 긴급한 경고 신호”라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현상을 강압적으로 바꾸려 한다면 이는 절대 용납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외 정책 기조인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를 재확립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한 조치로 ▲1조 달러를 넘는 국방예산안 ▲차세대 미사일 방어망 ‘골든돔’ ▲6세대 전투기 F-47 개발 등을 언급하며, 군사력 재건과 억지력 회복을 강조했다.

“미국은 이 지역에서 결코 물러나지 않을 것이며, 동맹과 파트너국들이 중국에 종속되도록 두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며, 인도·태평양 지역 주도권 수호를 천명했다.

이날 함께 샹그릴라 대화에 참석한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은 주한미군의 병력 감축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주한미군은 북한 억제뿐 아니라 중국 견제를 위한 전략적 병력으로도 재편될 수 있다”며 “한반도에 배치된 병력의 수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이 지역 전체 안보 구도 속에서 최적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주한미군의 임무 범위를 기존 ‘대북 억제’에서 대만해협, 남중국해 등으로 확대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이다.

한편 이번 회의에는 중국 국방부장 둥쥔이 불참했다. 미국, 일본, 한국, 인도 등 40여 개국 고위급 대표 5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중국만 빠지면서 미중 간 군사 대화는 무산됐다.

전문가들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과 국제 무대에서의 고립 회피 전략 속에 중국이 의도적으로 대표단 급을 낮춘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샹그릴라 대화가 점차 서방 중심의 반중 연대로 흐르고 있다는 불만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김명성 기자 kms@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