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양 파견 北 기술자 소행…혈맹 중국 해킹은 이례적 사건
- 北 당국 개입 조직적 해킹 정황…무인기 정보일 가능성 커

 

북한이 중국에 파견했던 IT 기술자가 중국 군사 정보를 탈취하다 최근 적발됐다. 혈맹 중국을 상대로 북한 당국이 조직적 해킹을 실시한 정황일 수 있다./연합
북한이 중국에 파견했던 IT 기술자가 중국 군사 정보를 탈취하다 최근 적발됐다. 혈맹 중국을 상대로 북한 당국이 조직적 해킹을 실시한 정황일 수 있다./연합

북한이 중국에 파견한 정보기술(IT) 인력이 중국의 군사기술을 탈취하다 중국 당국에 적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해킹 조직이 세계 각국의 군수기관·기업을 상대로 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것은 여러 차례 확인됐지만 혈맹인 중국을 공략하다 적발된 것은 이례적이다. 북한의 해킹 범위가 계속 확대되고 있음을 입증하는 사례일 수 있다.

29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노동당 군수공업부 산하 조직이 중국 선양으로 파견한 IT 기술자 A씨가 지난달 노트북 PC를 휴대한 채 현지 숙소를 이탈해 잠적했다가 중국 공안에 체포·구금되는 사건이 벌어졌다. 수사 과정에서 A씨의 노트북에서는 해킹으로 탈취한 중국 군사기술 정보가 나왔다.

공안의 추궁에 A씨는 중국 군사기술 정보 탈취 행위를 모두 자백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 소식통은 “북한 당국은 A씨가 검거된 사실을 인지하자 같은 장소에서 활동한 IT 인력 전원을 긴급히 북한으로 귀국시킨 것으로 안다”며 “북한의 대중 정보수집 활동이 노출될 것을 우려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것이 개인의 일탈이 아닌, 북한 당국이 조직적으로 실시한 해킹임을 시사한다.

A씨는 현재까지 구금 상태라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A씨를 중국에 파견한 군수공업부는 노동당 군수공업 정책을 집행하는 기관으로 핵·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등 주요 국방사업 전반을 담당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대상이다.

군수공업부는 북한 정찰총국 및 국방성과 함께 온라인상 외화벌이 및 방산기술 탈취에 특화된 IT 인력 조직을 운영하는 것이 한미 당국의 수사에서 여러 차례 확인됐다. 한국 외교부가 지난해 말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313총국'도 군수공업부 산하 기관이다.

군수공업부와 정찰총국이 중국, 동남아시아 등 해외 곳곳에 파견한 IT 인력들은 여러 명이 합숙하며 가상공간에서 위장 신분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씨의 노트북 PC에 어떤 중국 군사기술 정보가 있었는지는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이 최근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무인기 관련 정보일 수 있다. 북한은 최근 러우전 경험으로 소형 무인기 및 운영체계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대북 소식통은 "재중 북한 IT 기술자들의 동향을 잘 아는 탈북 인사들에 따르면 군수공업부가 최근 사이버 활동을 강화하며 외화벌이뿐만 아니라 무기 개발에 필요한 정보 수집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며 "공안에 붙잡힌 IT 인력의 해킹 정보도 무인기 관련 내용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이동훈 기자 ldh@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