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가 한반도 평화를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남북 교류사업을 다시 추진한다. 감귤·흑돼지 등 제주 특산품을 북측에 보내고, 한라산과 백두산을 잇는 환경·평화 사진전을 국제기구와 함께 여는 방안이 공식 논의 단계에 들어갔다.
제주도는 19일 제주도청에서 열린 ‘제9기 남북교류협력위원회 2차 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교류 협력 과제를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남북 관계가 경색된 지 10여년 만에 제주도가 다시 교류 복원을 시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제주 특산품 보내기’ 사업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감귤과 제주 흑돼지 등 지역 대표 농축산물을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또 제주 최대 명산인 한라산과 북한의 백두산을 연결한 ‘환경·평화 사진전’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유네스코 등 국제기구와 협력해 내년쯤 개최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였다.
제주도는 지난 1998년부터 2010년까지 감귤 4만8천t과 당근 1만8천t 등 총 6만6천t을 북한에 보내며 지방정부 남북협력사업의 출발점이 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2010년 5·24 대북 제재 조치 이후 교류가 전면 중단됐다. 그럼에도 제주도는 지난해 말 기준 87억원 규모의 남북교류협력기금을 조성해 교류 재개를 위한 준비를 이어왔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제주는 오랫동안 평화와 교류의 섬, 동북아 협력의 거점 역할을 해 왔다”며 “한반도 평화 분위기 확산을 위한 중심적인 역할을 제주가 다시 시작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5일 오 지사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만나 남북 교류협력 재개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고, 내년부터 단계적인 교류 사업 재개에 나서기로 뜻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 관계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제주도의 움직임이 실질적 연결고리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주연 기자 lgy25@sand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