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말 전원회의, 내년 9차당대회 앞두고 자력 난관 돌파 강조
- 자강력제일주의를 주체사상과 3대혁명노선과 결부시켜

북한이 잇따르는 국제사회의 제재 공세 속에서 내부 결집을 강화하기 위해 ‘자강력제일주의’를 전면에 재부각하고 나섰다. 외부 의존을 철저히 배제하고 자력으로 난관을 돌파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연말 전원회의를 앞둔 시점에 강조한 것이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5일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의 전략적 노선’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사회주의 건설에서 믿을 것은 외부의 지원이나 그 누구의 도움이 아니라 자기 힘뿐”이라며 자강력제일주의를 당면 과제로 제시했다.
신문은 “김일성-김정일주의 국가건설사상에 따라 인민정권을 강화하고 사상·기술·문화의 3대 혁명을 힘있게 다그치며 자강력제일주의를 구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은 시대 들어 등장한 자강력제일주의를 선대의 ‘주체사상’과 직접 연결하며 사상적 정통성을 부여한 셈이다.
자강력제일주의는 2016년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으로, 북한의 자원·기술·인력에 기반한 국가 발전을 추구하는 노선이다. 노동신문은 이날도 이를 “위대한 수령(김일성)과 위대한 장군(김정일)의 혁명사상에서 출발한 원리”라고 규정하며 “자체 국력을 강화해야만 어떤 조건에서도 사회주의 건설을 성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이어 주민들에게 ‘자력자강의 투사’, ‘자력갱생의 선구자’가 될 것을 주문하며 “모든 문제를 철저히 자체의 힘과 기술, 자원에 의거해 풀어야 한다”고 독려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자강력제일주의를 반복적으로 상기시키는 배경에 연말 결산과 전원회의를 앞둔 사상적 긴장 조성, 그리고 최근 미국의 연쇄 제재 발표가 맞물려 있다고 해석한다.
실제 미국 국무부는 이달 3일(현지시간) 북한산 석탄·철광석의 대중 수출에 연루된 선박 7척을 유엔 제재 대상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밝힌 데 이어, 미 재무부 역시 북한의 사이버 범죄 수익 자금 세탁에 관여한 북한 국적자 8명과 기관 2곳을 추가 제재 명단에 올렸다.
북한이 ‘자기 힘’을 거듭 강조하는 데는 이 같은 압박 속에서 체제 결속을 강화하고 내부 동요를 차단하려는 의도가 짙어 보인다. /황시완 기자 hsw@sand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