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혁명 상징 평양종합병원, 올해 38회 언급… 작년 ‘0회’
- WHO·유니세프 인력 곧 평양 방문… 국제협력 재개 조짐

평양종합병원 조감도/연합뉴스
평양종합병원 조감도/연합뉴스

북한이 내년 열릴 노동당 제9차 대회를 계기로 새롭게 발표할 ‘5개년 계획’에서 보건·의료 부문을 민생 분야 핵심 정책으로 전면에 올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올해 내내 각종 병원과 의료시설을 잇달아 시찰해온 것도 이러한 정책 전환의 일환이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임수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은 15일 공개한 ‘최근 북한의 보건·의료 강조 동향을 통해 본 민생정책 로드맵’ 보고서에서 “최근 북한 매체에서 보건·의료 관련 보도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는 차기 5개년 계획에서 도농 격차 해소와 민생 개선을 위한 중점 사업으로 보건·의료 토대 강화를 염두에 둔 행보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노동신문이 평양종합병원을 언급한 빈도는 2023년 단 한 차례도 없었지만, 올해 10월까지 38차례나 등장했다. 임 연구위원은 “이 같은 급증은 김정은이 직접 강조한 ‘보건혁명’ 구상과 맞닿아 있다”고 했다.

김정은은 올해 2월 2025년을 ‘보건혁명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평양뿐 아니라 지방 시·군에도 ‘현대적 보건시설’을 새로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공개된 건설 사업은 강동군병원, 평양종합병원, 평안북도 구성시병원 등 3곳이다.

이 같은 보건시설 확충은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지방발전 20×10 정책’의 핵심 세부과제로 포함돼 있다. 초기에는 지방공장·농촌주택 건설이 먼저 추진됐고, 이후 보건시설·복합문화센터·양곡관리시설이 ‘3대 필수대상건설’로 새롭게 지정됐다.

북한은 최근 중국·러시아와의 교류를 넘어 국제기구와의 보건 협력 재개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WHO와 유니세프는 이달 중 북한에 국제 보건 인력 파견을 준비 중이며,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약 5년 만의 복귀다.

주북 러시아대사관도 미하일 무라슈코 러시아 보건부 장관이 최근 평양을 방문해 정무림 북한 보건상과 의료협력 확대 합의를 체결했다고 공개했다. 무라슈코 장관은 평양종합병원과 북한 내 제약회사들을 직접 둘러본 것으로 알려졌다.

임 연구위원은 “현대식 병원 건설만으로는 보건·의료의 질적 제고가 이뤄지기 어렵다”며 “의료기기 현대화, 약제 개선, 의료 인력 역량 강화가 병행돼야 하고, 북한의 현실상 외부 인력·물자 협력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임 연구위원은 김정은이 올해 병원과 의료시설을 빈번히 방문한 것은 북한 내부에 보건·의료 사업이 권력의 최우선 관심사임을 각인시키기 위한 동시에, 대외적 ‘지원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김정은의 일련의 현지지도는 내년 민생정책의 방향을 미리 제시하려는 의도”라며 “대외에 인적·물적 자원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효과도 있다”고 평가했다.

임 연구위원은 “북한은 경제 분야에서는 관광사업을, 민생 분야에서는 보건·의료 사업을 지속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며 “현재 북한의 여건상 두 분야 모두 정상적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대외 협력의 활성화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조상진 기자 zos@sandtimes.co.kr

저작권자 © 샌드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